구분 | 운영방법 |
---|---|
운영주체 |
학교장 중심형, 위탁형(대학, 비영리단체) 등 운영주체의 개방 확대 |
지도강사 |
현직교원, 전문가, 외부강사, 지역사회 인사, 학부모 등 다양화 |
교육대상 |
본교생 및 타교학생, 지역사회 청소년 및 성인 |
운영프로그램 |
수요자 요구 중심의 프로그램 개설 운영(특성화·다양화) |
운영예산 |
수익자 부담 원칙, 빈곤층 및 소외계층 수강지원, 소규모학교 운영지원 확대 |
목적 | 농산어촌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 및 양극화 완화 |
---|---|
운영기간 | 2008. 3 ~ |
운영대상 | 초·중·고등학생 |
대상지역 | 춘천, 원주, 강릉, 양양, 삼척,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15개 시·군) |
운영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