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학생성장지원

방과후학교소개

메인페이지 학생성장지원 방과후학교지원센터 방과후학교소개


방과후학교소개

우리학교 희망프로젝트
방과 후 학교란?
정규 교육과정의 운영시간 이 외의 수요자(학생, 부모님) 중심으로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을 방과 후 학교라고 한다.
1. 사교육비 경감
2. 교육복지 실현
3. 학교 교육기능 보완
4. 학교의 지역사회화
비젼, 추진배경, 운영방법
미래창조, 으뜸 강원교육
남과 다른 경쟁력을 갖춘 인재육성
학교교육 기능보완
교육복지 실현
학교의 지역사회화
강원 방과 후 학교 운영
추진배경
사회 양극화 완화를 위한 교육격차 해소 방안의 필요
저 출산, 고령화 등 사회변화 부응하는 교육서비스 요구 중대
사교육 경감을 위한 방과후 교육화동의 개선요구
소규모학교 교육력 재고 및 지역 란 교육격차 해소 방안의 필요
다양화·특성화를 위하여 이렇게 연구 노력합니다.
운영방법
구분 운영방법

운영주체

학교장 중심형, 위탁형(대학, 비영리단체) 등 운영주체의 개방 확대

지도강사

현직교원, 전문가, 외부강사, 지역사회 인사, 학부모 등 다양화

교육대상

본교생 및 타교학생, 지역사회 청소년 및 성인

운영프로그램

수요자 요구 중심의 프로그램 개설 운영(특성화·다양화)

운영예산

수익자 부담 원칙, 빈곤층 및 소외계층 수강지원, 소규모학교 운영지원 확대

운영 프로그램
초등보육 프로그램
초등학교 저학년 중심의 저소득층 자녀 및 맞벌이 부모 자녀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교육
특기·적성 계발 프로그램
학생의 소질·적성 계발과 취미·특기 신장을 위한 초·중·고등학교 운영 프로그램
교과 프로그램
교과 심화·보충의 중·고등학교 수준별 운영 프로그램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역주민(성인) 및 청소년, 다문화 가정지원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점추진전략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중점 추진전략은 이렇습니다.
강원 방과후학교 추진단 및 전담팀, 지역협의체 구성 운영
초등 보육교육프로그램 모델학교 운영 및 일반학교 운영확대
소규모학교 협동 운영 [옹골찬 두레 방과후학교]내실화
사이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우수인력 발굴 및 인력풀 운영
대학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위탁운영 확대 및 대학생 멘토링 운영
교원업무경감 및 사기진작을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
다양화·특성화를 위하여 이렇게 연구 노력합니다.
운영방향
방과후학교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
지역과 학교 특색에 맞는 방과후 학교 운영모델 개발·적용
현장의 안정적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지역 거점학교 운영
필수 운영과제
초등 : 초등보육프로그램운영
중·고등 : 수준별 선택형 교과 프로그램 운영
모든 시범학교 : 토요휴업일과 방학 중 프로그램 운영
방과후학교 시범학교 운영현황

방과후학교 시범학교 운영현황

 

특색프로그램,지원상황
특색프로그램
우리는 하나교실 - 다문화 가정지원·평생교육 프로그램
푸른교실 방과후학교 - 군부대 인적자원 활용
꿈꾸미 교실 - 초등 보육프로그램
옹골찬 두레 방과후학교 - 소규모학교 공동 협력 프로그램
강원 사이버 방과후학교 - 웹 활용
도전 에이스 - 방학 중 대학 위탁 프로그램
강원 방과후학교 이렇게 지원합니다.
자유수강권 운영(1인당 3만원 기준, 연30만원 이내 지원)
소규모학교 특기적성 교과프로그램 강사비 지원
초등보육 및 평생교육 모델학교 운영비 지원(시설개선, 운영비)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및 자료개발 보급
방과후학교 설명회 및 교원연수 지원
대학생 멘토링 운영
방과후학교 운영 컨설팅
방과후학교지원사업안내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지원사업 이렇게 운영합니다.
목적

농산어촌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 및 양극화 완화

운영기간

2008. 3 ~

운영대상

초·중·고등학생

대상지역

춘천, 원주, 강릉, 양양, 삼척,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15개 시·군)

운영내용

 

  • 소규모 농산어촌 학교의 특성에 맞게 거점학교 운영
  •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운영
  • 우수한 강사 확보·이동수단·시설 등 재정지원